구글이 한국에서 네이버에게 고전하고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 해석이 있지만, 그 중의 하나는 소위 가두리 DB로 불리우는 네이버의 폐쇄적인 한국어 컨텐츠 때문이라는 꽤 유력한 분석이 있다. 지식인을 필두로 쓸만한 한국어 검색 결과는 NHN이 그들의 내부 DB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시켜 만들게 하거나 혹은 직접 사다가 쌓아놓아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을 무력화 시킨다.

구글의 검색 결과는 내용면에서 나쁘지는 않지만, 많은 경우 영어 사이트를 결과물로 내놓기 때문에 한국인들에게는 어필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 같다. (이는 유럽과는 달리 영어와 매우 다른 구조를 가지는 한국어가 한 몫 하는 것 같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구글은 한국어 DB를 쌓아놓기보다는 자동 번역의 품질을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

자동 번역 시스템은 지금까지 크고 작은 여러 업체와 연구소등에서 개발되어 왔다. 아직까지 그 언어 체계가 많이 다른 언어간에는 결과물이 신통치 않지만 비슷한 언어권에서는 꽤 쓸만한 상태에까지 와 있는 것 같다.

한국어의 경우 일본어와의 번역 품질이 충분히 납득 되는 수준에까지 올라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사업화되었던 제품도 꽤 많았는데, 최근의 상황을 보면 이지트랜스 및 네이버의 번역서비스에 사용되는 창신소프트의 엔진, 고려 및 야후 재팬의 번역서비스에 사용되는 CROSS Language의 엔진, Excite Japan의 번역 서비스에 사용되는 Kodensha의 엔진, 그리고 구글의 엔진 정도가 눈에 띈다.

그런데 일반 사용자용 패키지로는 10만~100만원 정도에 이르는 고가 제품이어서 널리 팔려나가기는 쉽지 않았고 최근에는 그저 유력 포털에서 웹 번역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단편적인 PV를 노린 비즈니스 모델밖에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웹 번역마저 Ajax를 비롯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는 부분이 증가되는 등의 사정으로 그 아웃풋이 거의 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어, 번역 품질 이슈와는 별개로 사업적으로 정체상태가 되고 있는 것 같다. (상대적으로 가장 번역품질이 낫다고 생각하는 창신소프트 엔진은 IE6 시절 이후로 실질적인 개선이 없는 상태다.)

하지만 사용자들의 욕구는 계속 있어 왔고 창신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시했던 구형 제품의 트라이얼 버전을 활용한 Firefox의 플러그인이 개인 개발자에 의해서 만들어지기에 이른다. 이를 통해 그 가능성과 수요는 보여줬지만 딱 거기까지 였다.

드디어 2010년 3월! 구글 크롬이 버전 4에 이르러 자사의 번역엔진을 장착했다. 기존 웹 번역 서비스와 같은 엔진을 사용하고 있는 것 같지만 브라우저 내에 탑재되어있으므로 웹 번역과는 달리 좀더 완성도 높은 렌더링 품질을 보여주고 있다. 크롬 자체가 아직 불안하기는 하지만 꽤 쾌적하다. 내부적으로 렌더링 과정에 구글 서버를 돌아 갔다와야 할 텐데도 의식 못할 정도로 시원 시원하다.


------------------

한때 야후가 80%에 가까운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던 일본 검색 시장은 구글과의 격차가 6:3정도까지 가까워 졌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한국의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가두리 모델을 지향하던 야후가 지금까지는 선전 해 왔다고 한다면, 역시 자국 내에만 해도 일본어 사용인구가 1억 3천만인데다가 개인의 창작 저작물을 존중하는 문화적 배경과 어우러져, 검색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충실히 진화해 가고 있는 구글의 전략이 점차 먹혀가고 있는 것 같다. (네이버 재팬은 여전히 야후가 안하는 혹은 못하는 새로운 가두리 양식장을 만드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 일본에서의 구글의 성공이 단지 일본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자연스럽게 이해 가능한 일한 자동 번역기능을 탑재한 크롬의 배포와 맞물려 한국에서도 혹시 새로운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 사람들이 구글을 쓰기 시작한 이유는 가두리 양식장 야후 재팬에서의 제공 못한 것을 구글 재팬에서 제공했기 때문일거다. 그런데 크롬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그 혜택을 한국어 사용자도 입을 수가 있는 것이다.

원 저작자가 존중 받지 못하는 펌질 중심 문화에서 4500만명이 만들어낸 컨텐츠와 1억 3천만이 저작자 존중의 사회에서 만들어낸 컨텐츠가, 나름의 신념을 가지고 열심히 하고 있다 해도 단지 몇 천명 직원으로 이루어진 NHN의 노력만으로 얼마만큼의 방어가 가능할까.

------------------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욱 풍요로운 인터넷 환경이 됐다. 유럽 유수의 나라가 자국의 포털이 발달하지 못하고 모두 구글을 쓰는 것도, 기본적으로 영어를 쉽게 배워서 잘 쓰기도 하기 때문이겠지만, 거기에 더해 자동번역의 품질이 좋았던 것도 무시 못할 이유였을 것이다. 이제 한국어에도 (단순 인구 비례의 산술 계산이라는게 무리가 있긴 하지만) 3배의 컨텐츠가 갑자기 쏟아지게 된 것 이다.

아직 구글의 일본어 번역은 오래전에 나온 창신의 번역엔진에 비해서도 좀 떨어지는 것이 체감될 정도이지만 꾸준이 개선되고 있는 듯하니, 크롬의 점유율과 번역 품질이 지금보다 나아질 2년 뒤에는 어떤 상황이 되어 있을지 아무도 장담 못할 듯 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관련 글 목록
2010/04/26 22:41 2010/04/26 22:41

Trackback URL : http://xeliz.myds.me/xeliz/trackback/27

Trackback RSS : http://xeliz.myds.me/xeliz/rss/trackback/27

Trackback ATOM : http://xeliz.myds.me/xeliz/atom/trackback/27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 Comment RSS : http://xeliz.myds.me/xeliz/rss/comment/27
  2. Comment ATOM : http://xeliz.myds.me/xeliz/atom/comment/27
  3. 사랑가루 2010/04/27 01:00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잘 읽었습니다.
    구글을 싫어하진 않지만 세계 검색 시장을 한 회사가 장악한다면
    부작용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

    • 셀리즈 2010/04/27 08:59  편집/삭제  댓글 주소

      검색을 단지 수많은 정보 유통 체계의 하나로 볼 수 있다면 그리 큰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4. 셀리즈 2010/04/28 17:23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Ctrl+F에 의한 검색에서 FF/IE와는 달리 크롬에서는 한글 발음에 대응하는 한자까지 같이 찾아지는군요. 예를 들면 일본이라고 입력하는 것만으로 페이지 내에 있는 "일본"과 "日本"이 모두 찾아 집니다.

  5. xelern 2010/04/29 09:02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클라이언트설치모듈도 아니면서 그정도 속도를 내는게 놀랍습니다.

  6. 창우 2010/05/29 00:48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으흐 부럽습니다.

: 1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