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입력이 하나의 글자에 대응되거나 혹은 움라우트 정도의 최소한의 변형만으로 입력이 가능한 언어의 문자의 경우 MS윈도우에서는 키보드 레이아웃만 변경하는 체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그런데 한국어의 한글이나 (일본어 기반의) 한자 입력의 경우에는 키보드 레이아웃과 더불어 IME라는 체제를 병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 IME라는 것이 고정된 로마자 키보드 레이아웃을 가져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보니 일본어IME의 경우 애초에 로마자 입력이 Qwerty자판에 종속되어 있으며, 한국어IME의 경우에도 로마자 입력 모드나 Accelerator key 등은 Qwerty에 종속되어 있다.


보통의 Qwerty 자판의 사용자라면 한글 입력이 두벌식이건 세벌식이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드보락 자판을 기반으로 한글이나 (일본식 발음에 의한) 한자를 쓰고 싶은 사람은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수많은 사제 IME가 존재하는 일본이나 중국과 달리 한국은 유명 워드프로세서 업체마저도 한국어 IME를 공개한 바 없어서 MS가 제공하는 기본 환경만을 써야했었다. 이 경우 입력 언어를 <영어-드보락>과 <한국어-세벌식/쿼티>로 설치해서 썼었는데, 두가지 로마자 입력 모드가 공존할 뿐더러 한국어 입력모드에서는 Accelerator key나 패스워드 입력이 여전히 Qwerty기반으로 입력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다행히 최근 들어 한국어IME도 새나루날개셋이라는 두가지 입력기가 공개되어 해결의 가능성을 가졌었다. 심지어 새나루는 오픈 소스다! 새나루 Ver 1.0.1과 날개셋 Ver. 5.5를 바탕으로 비교하여 보면 기본 기능은 서로간에 결정적인 차이는 없는 정도의 둘 다 쓸만한 입력기라고 할 수 있겠다.



처음엔 새나루를 기반으로 세벌식+드보락 환경 구축에 나섰다. 내장된 드보락 기능은 Accelerator key 대응 등에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새나루는 MS IME와 마찬가지로 키보드 드라이버 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개인적으로 DDK의 드보락 자판 키보드 드라이버를 일부 수정, 재컴파일해서 그 문제는 해결됐다. 초기 버그 몇 개도 개인적으로 고쳐서 쓰곤 했는데, 현재는 그런 버그도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많이 개선되었고 비슷한 방법으로 드라이버 변경에 의한 드보락 자판을 쓰는 방법도 공식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런 새나루에는 단점이 하나 있는데, CapsLock키가 눌려지면 한글 입력 모드에서도 Shift키가 눌려진 것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또한 복모음이 조합중 각자 지워지지 않고 한번에 지워져서 헷갈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외에 한자 사전의 순서가 좀 이상하다는 것과 특정상황에서 'ㅕ'가 6~7회 정도 자동 입력되는 버그가 있기는 하지만 익숙해지면 그런대로 견딜만 하다. 다만 오픈 소스임에도 프로젝트가 너무 오래 쉬고 있어서 64bit 버전은 없다.


날개셋은 바이너리는 오픈이지만 소스는 오픈이 아니다. 하지만 상당히 완성도가 높고 버전업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어서 TSF대응이라던가 64bit버전 등도 있다. 그럼에도 하부 구조가 약간 달라서인지 레지스트리에서 IME의 키보드 레이아웃을 교체하는 것 만으로는 드보락 자판으로의 젼환이 안 된다. 내장의 드보락 자판은 Accelerator key가 여전히 Qwerty로 반응해서 쓰기가 곤란하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차라리 새나루의 버그 부분을 조금 고쳐서 쓸까 하고 고민하던 차에 우연히 눈길을 끄는 글을 웹서핑 중에 찾았다. 날개셋이 레지스트리의 키보드 드라이버 수정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Autohotkey라는 키보드 레이아웃 수정 프로그램에는 반응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쓰기 시작했다.

날개셋 + Autohotkey를 이용한 드보락 + 날개셋용 드보락 기반의 세벌식 자판

원래 이 방법을 제안한 사람은 Autohotkey에 의해서 드보락으로 리맵핑된 환경에서 동작하는 세벌식 최종자판을 만들어 공개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세벌식390을 쓰는 관계로 새로 만들었다. 바뀐 자판에서 한글 리맵핑이라는게 이거 은근히 헷갈렸다. -_-; 한 일주일 써보면 원래대로 다시 돌아갈 지 결론이 나올 듯.

여기에 한 가지 사이드 이펙트가 있었는데, Autohotkey에 의한 시스템 수준의 훅킹이 이루어지자 일본어IME에서도 드보락으로 입력이 가능해졌다. 업무상 일본어 입력을 종종 해야하는데 그 때마다 Qwerty로 입력하느라 고생 좀 했었다. 덩달아 한 가지 문제가 더 해결 되었다. 올레~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관련 글 목록
2009/10/24 23:57 2009/10/24 23:57
TAGS , ,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집으로의 여정

2009/10/10 14:33 / 분류없음

Science Fiction물에서의 인기 테마중 하나는 집으로의 여정이다. 과거에도 스타트렉 보이저(Star Trek: Voyager)에서 우연한 사고로 가버리게 된 델타 사분면에서의 귀환을 테마로 20세기 말에(^^;) 7년동안 방영한 바 있다.


SF물 답게 "집으로의 여정"은 우주 어딘가에서 지구로, 다른 시간대에서 현재로, 다른 차원 혹은 평행 우주(Pararell world or Alternative universe)간의 이동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가운데에서 대형 함선에 올라 지구로의 여정을 그리는 몇 개의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최근에 시작한 스타게이트 유니버스(Stargate Universe)1는 리차드 딘 앤더슨(맥가이버)이 출연하여 인기를 끌었던 스타게이트 SG1(Stargate SG1)의 최신 스핀오프이다. 보이저를 재밌게 봤었기때문에 본 작품에도 기대가 많이 되고 있다.


이미지 출처: http://www.syfy.com/universe


지구으로의 귀환을 다룬 작품이라면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2(超時空要塞マクロス: 愛、おぼえていますか?)를 빼놓을 수 없겠다. 1983년 TV에서 방영한 이래 1985년 영화화되고 2008년의 최신 스핀오프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원작의 트랜스포머로 재미를 본 헐리웃에서 조만간 실사화 된다는 소문도 있다.


다음 세대(Star Trek: The Next Generation)의 방영 직후 절정의 인기를 누리고 있을 때 딥 스페이스 나인(Star Trek: Deep space 9)과 함께 방영되었던 보이저3(Star Trek: Voyger) 시리즈는 배경은 "집으로"이지만 SF 드라마로서 좀 더 폭넓은 스토리 텔링을 해주었던 것 같다. 극장판을 내심 기대했었는데 이제 원작의 배우들이 너무 늙었겠다. -_-;


마지막으로 최근에 종영한 배틀스타 갤럭티카 20034(Battlestar Galactica)는 70년대 방영한 원작의 리메이크 버전으로서 시종일관 어둡고 쫓기는 삶을 잘 그려냈던 것 같다. 그래서 지루하고 질리는 점도 있다. -_-;


그들은 군인이다.


배틀스타 갤럭티카와 마크로스는 주적인 사일런(로봇)와 젠트라디(외계인) 이외에 군인과 민간인이 내부에서 갈등한다. 많은 전쟁 영화에서 주어지는 소재인데, 근 미래를 다루는 SGU에서도 스타게이트를 관할하는 군인과 관료, 과학자, 그리고 민간인의 갈등이 그려진다. 보이저는 보다 적극적인 갈등구조인데 군인에 해당하는 스타플릿 측과 이에 대항하던 게릴라 조직(혹은 테러리스트 - 어디까지나 한쪽 관점에서 본 것이고 선악으로 구분되어 있는 플롯은 아니다)이 하나의 함선으로 여정에 오르게 된다.

 기술적 취약점


마크로스와 SGU는 애초에 함선의 제작자가 현 인류가 아니다. 그래서 효율적인 함선 운항이 어렵다는 것이 또 하나의 스토리 재료가 된다. 배틀스타 갤럭티카는 카프리카인이 창조한 기계 문명이 스스로 발전하여 그들과 대결하는 구도가 된다. 따라서 최신의 기계 - 기술을 사용하는데에 제약을 받는다. 전쟁이 발발하자 퇴역을 앞두고 네트웍과 단절 시켰던 함선 갤럭티카 이외의 모든 군함은 사일런의 바이러스에 의하여 제어권을 잃게 된다. 알파분면에서 잘 나가는 스타플릿이지만 델타분면에서 귀가중인 보이저는 보그, 히로전, 8472종족에게서 도망 다니느라 바쁘다.


마크로스는 SF적 스토리를 차용한 청소년 연애물에 가깝고 배틀스타 갤럭티카는 도망자 무비다. 그 와중에 정치권력 다툼과 주요 종교의 SF적 해석을 다루고 있다. 보이저는 사실 그냥 드라마다. 탐험, 전쟁, 도망, 연애, 권력, 종교, 인간성의 탐구 등에 이르는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아마도 SGU는 미지의 세상에서의 생존과 군인, 민간인 사이의 갈등이 주요 내용이 될 것 같다. 왠지 배틀스타 갤럭티카의 냄새가 나지만 앞선 시리즈인 SG1과 Atlantis를 돌이켜보면 조금은 밝고 희망적인 스토리로 갈 수도 있겠다는 기대도 된다.


아직은 대놓고 쫓아오는 적은 없는 듯하니 달이 지구 궤도를 이탈하고 난 이후의 달기지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다룬 스페이스1999(Space 1999)와 좀 더 닮은 스토리로 갈 지도 모르겠다. 인류보다 우월한 고아울드, 오라이, 레이쓰에게서 도망다니던 앞선 시리즈를 감안하면 당장이라도 누가 쫓아올 지도 모르지만.


소년 시절의 감수성을 담고 있는 DVD Memorial Box !

물론 아저씨가 되어 경제력을 갖추고 나서야 구입할 수 있었다. -_-;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1. 고대인(Ancients)이 남긴 웜홀을 이용한 이동 장치 스타게이트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 SGU는 고대인이 스타게이트를 각 행성에 배포할 때 사용했던 무인 함선에 승선하여 겪는 일을 스토리로 엮었다. [Back]
  2. 인류는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의 함선 마크로스를 수리하여 10년만에 진수하나 마크로스의 활성화를 감지한 또 다른 적대적 외계인의 공격에 휘말려 급히 달 뒷면으로의 공간이동(Hold)를 실시한다. 그러나 도착 지점은 예상과 달리 목성 근처이고 공간이동 장치는 파손된다. 여자 주인공 린민메이는 극중 미스 마크로스에 선발되어 가수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녀가 불렀던 노래 -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 가 당시 일반 가요 차트의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한다. [Back]
  3. 정치적인 이유로 연방의 스타플릿 함선 보이저는 마퀴(Maquis)를 뒤쫓지만 배드랜드에서의 이상현상으로 인해 우리 은하의 델타사분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지구까지는 최대 워프속도로도 70년 이상 걸리는 거리이고, 연방의 관할 구역 밖이므로 어떠한 문명과 접하게 될 지 모르는 상황. 스타트렉에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함선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함선에 적은 숫자의 승무원으로 겪는 이야기들. [Back]
  4. 카프리카라는 행성에 거주하던 종족은 자신들이 창조한 로봇 사일런이 자아를 가지게 되면서 서로 대적하게 된다. 휴전상태가 되고 수년이 흐른 뒤, 다시 전면적인 전쟁에 돌입하게 되는데 최신의 사일런은 유기체 버전으로서 카프리카인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창조자에 관한 철학적인 고민을 하고 있었다. 전쟁에서 패배한 카프리카인들은 사일런을 피해 지구라고 불리우는 13번째 콜로니를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Back]
관련 글 목록
2009/10/10 14:33 2009/10/10 14:33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M5는 새로나온 모바일 기기가 아니라 일본의 Sord에서 1982년 발매된 개인용 컴퓨터의 이름이다. 개인적으로는 M5가1 가장 처음에 그리고 iPhone 3G가 가장 최근에 구입한 컴퓨터인데 대략 25년의 나이차이를 가지고 있는 두 기종을 문득 비교해보고 싶어졌다.

Sord M5 (금성 FC-150)

Apple iPhone (3G)

1982년 (1983년)

 2007년 (2008년)

 가격

49,800엔 (266,200원)

 (휴대폰 요금제에 의한 할인을 이용하지 않으면 5만엔 내외)

 CPU

4MHz 8bit Z80a underclocked 3.58Mhz

620Mhz 32bit Arm1176  underclocked 412Mhz

 GPU 혹은 VDP

TMS9918a

PowerVR  3D

 Memory (Ram)

8KB

128MB

 Rom

8KB

N/A

 Memory

16KB

N/A

 Storage

외장

16GB

 최대 해상도

480*320

 발현

16색 (가로 8픽셀당 2색 지정 가능)

262,144색 (내장 LCD 기준)

 PSG

SN76489

N/A

 Sound

3채널 6옥타브 보이스, 1채널 노이즈

제약 없음

 디스플레이

3.5인치 LCD 내장

 입력장치

러버 타입 키보드

 터치 스크린

 배터리

6시간(웹서핑)~24시간(음악재생)

 카메라

N/A

2.0 Mega pixel

 GPS

N/A

A-GPS

 Comm

외장

WiFi, HSDPA, WCDMA, 블루투스

800g

135g(133g)


iPhone은 무게가 1/5로 줄어들어 한손에 쏙 들어오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스피커까지 내장했다. 애초에 휴대용 음향기기(iPod)를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니 당연한 것이겠지만. 사실 거기에 카메라와 GPS, 여러가지의 무선 통신모듈도 내장하고 있다.

속도는 액면 클럭주파수만 비교해도 115배 가량 빨라졌다. 그러나 아키텍쳐의 향상까지 고려하면 수천배 이상 빨라졌다고 볼 수 있겠다.

색상의 사용이나 음향의 합성이 정해진 틀 안에서만 가능했던 옛날에 비하면 원하는 대로 뭐든지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메인 메모리는 16,000배 커졌고 16G기준의 내장 스토리지로 비교하자면 무려 2,000,000배나 커졌다. 더군다나 언제 어디에서나 휴대폰 망이나 WiFi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는 내장 메모리/스토리지의 크기 역시 큰 의미가 없어질 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하는 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25년의 인플레를 감안하지 않고도 가격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25년전에 땅값이나 아파트값, 쌀값이 얼마였는지 기억하는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1. 실은 소유했던 첫번째 컴퓨터는 M5가 아니라 1983년말 한국의 금성사(현재의 LG전자)에서 발매한 호환기종인 FC-150이 되겠다. [Back]
관련 글 목록
2009/10/09 00:05 2009/10/09 00:05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 Comment RSS : http://xeliz.myds.me/xeliz/rss/comment/14
  2. Comment ATOM : http://xeliz.myds.me/xeliz/atom/comment/14
  3. 셀런 2009/10/09 20:51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아이폰을 컴퓨터라고 생각해본적은 없었는데
    실제로 써보니 초소형컴퓨터에 전화기능이 탑재되어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4. 유수호 2009/10/15 15:41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셀리즈상, 오갱끼데쓰까? FC150과 iPhone 3G의 비교라. 셀리즈상이 아니면 누가 이런 시도를 해보겠쓸까나... 미투데이계정도 있네? 트윗은 안하삼?? 트윗에도 놀러오삼 twitter.com/simmany

PMP로서 노트북은 공공장소에서 꺼내놓고 영상을 감상하기는 너무 커서 민망하고 초기의 PDA들인 애플 뉴튼, US로보틱스의 팜 파일럿이나 소니 CLIé같은 제품은 흑백이거나 CPU파워가 부족해서 동영상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 이후로 소니에서 VAIO C1이라는 매우 작은 노트북이 발매되면서 노트북치고는 꽤 모양 나오는 감상이 가능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배터리 성능과 무게에 있어서 현실적이지는 못했다.


좀 쓸만해진 장비의 첫 등장이라면 HP에 인수된 컴팩의 iPAQ2210이었던 것 같다. 매우 작았지만 충분한 CPU성능과 화면 크기(3.5인치, 320*240), 배터리 성능을 보여줬다. TCPMP의 전신인 Betaplayer(베타버전이 아니다!)를 설치하여 XVID 350KCPS, MP3 VBR 192kbps로 인코딩된 파일을 훌륭하게 재생해냈다.


그 이후로 차량을 위한 내비게이션을 구입하면서 휴대성이 좋았던 제품을(MIO-C8101) 선택해 TCPMP라는 오픈소스 동영상 플레이어를 설치하여 한동안 썼다. 해상도는 480x272이고 화면은 약간 어두운 편이었지만 XVID 500KCPS정도로 영상을 인코딩하고 음성은 MP3 VBR 192kbps로 인코딩하면 꽤 쓸만했었다.

외부 버튼이 부족한 데에서 기인한 불편한 조작성은 TCPMP의 소스코드를 직접 수정해서 해결이 가능했었다.


그 이후로는 휴대폰에 3GPP로 인코딩하여 쓰기도 했는데, 밝기나 성능문제는 차치하고도 화면 크기가 동영상 감상에는 너무 작아서 금방 C810으로 돌아왔다.


요즘 PMP는 대중교통 이동시간이 긴 사람들에게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PMP보다는 일반 휴대폰이나 아이폰, 혹은 닌텐도와 소니의 게임기를 전철에서 꺼내놓고 있는 경우를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왼쪽에서부터 Sony PSP, Apple iPhone, Nitendo DS Lite

이들 기기들도 PMP로의 활용이 가능한데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Sony PSP

  • 480*272 4.3인치 상당히 밝은 LCD
  • H.264 600KCPS(MPEG 4 Part 10), AAC 192Kbps (MPEG 2) 정도의 동영상이 매끄럽게 돌아가는 CPU 성능.
  • H.264는 XVID(MPEG 4 Part 2)에 비해서 60~70%정도의 비트레이트(용량)에서 비슷한 품질의 영상을 보여주는 것 같다.
  • 내장의 플레이어에서 iframe 단위의 썸네일 보기 / 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원하는 부분으로 감을 수 있다.
  • 16:9 / 4:3 화면 제어 기능

Apple iPhone

  • 480*320 3.5인치 가장 밝은 LCD
  • H.264 700KCPS, AAC 192Kbps 정도의 동영상이 매끄럽게 돌아가는 CPU 성능
  • 프로그레스바만을 통해 제어 가능한 감기 기능이 불편
  • 3:2의 화면 크기로 인해 대부분의 영상이 잘리거나 검은 부분이 생겨 화면의 낭비가 있다.
  • 내장 메모리로의 영상 전송 속도가 느리다

Nintendo DS Lite

  • 256*192 3인치 가장 어두운 LCD
  • 동영상 재생을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 다른 제품이 H.264 영상을 지원하는 반면 DS는 CPU 성능의 부족으로 인해 과거 VCD로 불려졌던 MPEG 1만을 재생할 수 있다. 인코딩 방식의 레벨이 달라 비트레이트 단위의 비교는 거의 의미가 없다. 최신의 동영상 포맷에서 음성부분은 AAC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 이외에 메모리 용량, 중량, 크기, 디자인, 배터리 용량등은 세기종 모두 기본 수준은 만족시키고 있어서,

 결론적으로 동영상 감상으로는 PSP가 가장 쓸만하다는 것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1. 대만의 MiO사에서 발매한 WindowsCE 기반의 내비게이션. 맵피를 탑재하였고 4.3인치 화면과 휴대기기로 손색이 없는 용량의 배터리를 내장했다. [Back]
관련 글 목록
2009/10/01 00:05 2009/10/01 00:05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